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공직관>공직이념>목민의 길
URL

공직이념

목민의 길
관련유물
관련유물 목민고략 목민심서 초 영가지
관련유물페이지 이동
유물정보 테이블
유물명 목민심서 초(牧民心書 抄) 유물형태 고도서
기탁자 크기

조선 후기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수령의 지침서로 지은 책을 필사한 것이다. 즉 그가 전라도 강진에서 귀양살이를 하다가 해배(解配)되던 해인 1818년(순조 18)에 완성한 것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사서를 비롯해 자(子)·집(集) 등에서 치민(治民)과 관련된 자료를 뽑아 수록함으로써 지방관리들의 폐해를 제거하고 지방행정을 쇄신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정약용은 금정찰방(金井察訪)과 곡산군수로서 직접 백성을 다스렸으며, 18년 동안의 강진 귀양살이를 통해 백성이 국가 권력과 관리의 횡포에 도저히 배겨내지 못하는 것을 누구보다도 소상하게 알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목민심서〉가 저술되었다. 권두에 목민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와 목민을 책임진 지방수령들의 기본자세가 얼마나 숭엄해야 할 것인가 하는 목민의 뜻을 밝힌 자서가 있다. 내용은 부임(赴任) · 율기(律己) · 봉공(奉公) · 애민(愛民) · 이전(吏典) · 호전(戶典) · 예전(禮典) · 병전(兵典) · 공전(工典) · 진황(賑荒) · 해관(解官)의 12편으로 나누고, 각편을 다시 6항목으로 나누어 모두 72항목으로 엮었다. 이 목민심서는 19세기에 수령의 업무 지침서로서 많이 필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