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의례관>향촌례>사상견례
URL

향촌례

사상견례
관련유물 진성이씨 향음주례홀기 향산 향약홀기 향약시첩 향약응행절목
<사례문답>

<사례문답>

옛날 선비들이 서로 찾아 인사하는 예로써, 의식절차를 갖추어 행하였던 선비들이 공식적으로 서로 만나 인사하는 예. 벗은 오륜(五倫)의 하나로서 처음 사귈 때는 군신이나 부부처럼 반드시 폐백을 받들고 서로 맹세하는 절차가 있다. 이는 사상견례(士相見禮)에 소상히 기록되어 있다.

선비들이 공식적으로 서로 만나 인사하는 예로 『의례(儀禮)』 「사상견례」 편에 의하면 사(士)와 사가 상견하는 예, 사가 대부(大夫)를 보는 일, 대부·사·서인(庶人)이 군주를 보는 일, 군주가 사적(私的)으로 회견하는 일, 사임한 경대부(卿大夫)가 사를 보는 일, 군주의 명령에 의해 사신으로 갔을 때 칭위(稱謂)와 집폐(執幣)의 예 등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다. '견'이라 하지 않고 '상견'이라 한 것은 주인(主人)과 빈객(賓客)이 교대로 폐백을 잡고 보기 때문이며, 대개 대등한 위치에서 대등한 대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이므로 신분·연령의 차이 등은 특별히 고려되지 않는다.
그 사상견례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청견(請見) : 손님이 폐백을 가지고 주인의 집에 찾아가 자기의 신분을 밝히고 만나고자 하는 사유를 전한다.
② 전지(傳贄) : 손님은 가져온 폐백을 수종(隨從)을 통해 주인에게 전한다.
③ 반견(反見) : 수종이 손님을 안으로 인도한 뒤 주인과 손님이 인사를 나누고 자리를 정해서 앉는다.
④ 전언(傳言) : 찾아온 사유를 말하고 소개로 왔을 때는 소개장을 제시한 뒤 말을 전한다.
⑤ 궤식(饋食) : 주인은 음식을 내어 손님에게 접대한다.
⑥ 빈출(賓出) : 용무가 끝나면 주인은 손님을 전송한다.
⑦ 환지(還贄) : 주인은 폐백을 마련하여 종자를 시켜 보내고 찾아준 고마움을 사례한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