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의례관>가례>혼례
URL

가례

혼례
관련유물 영천이씨(부석) 연길단자 제산종택 예장지 향산 예장지 제산종택 혼수물목 제산종택 혼례부조록 전주류씨 사돈지 납폐장 육례수략목록 육례홀기
혼례(婚禮)

혼례(婚禮)

혼례는 사례(四禮)의 하나로서 나이가 찬 남자와 여자가 짝을 지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예식이다. 기본적으로 남녀 두 사람의 성적·경제적 결합이지만, 한편으로는 가통을 잇기 위한 신성한 결합이며, 오랜 전통을 지닌 가정과 가정간의 결합이기도 하다.
혼례는 크게 볼 때 인간이 태어나서 사회적 지위와 인정을 받기 위해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 나라의 전통 혼례는 두 가지로 하나는 우리 겨레가 역사를 열고 문화를 일구어 오는 동안 저절로 정착된 혼인의식이며, 또 하나는 고려말 성리학(性理學)을 수용한 주자가례의 혼례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고대 혼속(婚俗)은 초서혼이라고 하는데, 남녀가 결합해서 부부를 이룬 뒤에 가정생활을 어디에서 하느냐에 따라 가취혼(嫁娶婚)과 초서혼[入婚 : 男歸女家婚]으로 나뉜다. 가취혼은 여자가 남자의 집으로 시집가서 그 집 식구로 살아가는 형태이고, 초서혼은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장가가서 그 집 식구로 살아가는 형태이다. 초서혼은 말하자면 데릴사위 형태인데, 우리의 고대 혼인 풍속에서 유래한 것이다. 고려 말 성리학이 들어온 후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의한 유교 의식이 시행된 후에도 이 혼속의 영향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으나 조선후기에는 주자가례로 정착되었다.

전통 혼례의 순서는 흔히 육례(六禮)를 갖춘다고 한다. 이는 납채(納采)·문명(問名)·납길(納吉)·납폐(納幣)·청기(請期)·친영(親迎)으로 혼례 의식의 여섯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암 이재의 『사례편람(四禮便覽)』 등 가례서에 입각한 혼례 순서는 의혼(議婚), 납채(納采), 납폐(納幣), 친영(親迎) 등이다. 의혼은 중매를 통해 혼인 상대의 의중과 조건등을 알아보는 과정이고, 남채는 서로 뜻이 맞아 청혼서(請婚書)와 사주단자(四柱單子), 허혼서(許婚書)와 연길(涓吉)단자 등을 주고 받는 과정이다. 택일이 되면 정해진 날에 신랑 측에서 신부 측으로 혼수와 혼서지가 가는 것이 납페이고, 신부를 데려오기 위해 신부집으로 전안례(奠雁禮)를 올리러 가는 것이 친영이다. 혼례는 초례(醮禮)·전안례(奠雁禮)·교배례(交拜禮)·합근례(合 禮)·현구고례(見舅姑禮)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혼인의 절차는 지역과 가문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관한 문서도 차이가 있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