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향촌관>문화와 생활>놀이문화
URL

문화와 생활

놀이문화
관련유물 창랑보 종정도 유산기 생황 보묵 석봉서법
<부녀자와 아이들이 즐기던 투호(投壺)>

<부녀자와 아이들이 즐기던 투호(投壺)>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소개된 훈서화(燻鼠火)는 서민들의 대표적 민속놀이로, 쥐불놀이라고 한다. 정월 첫 쥐날[上子日]이나 정월 대보름 전날에 두렁의 마른 풀에 불을 놓아 태우는 놀이다. 이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쥐를 잡고 들판의 마른 풀에 붙어 있는 해충을 없앨 뿐만 아니라 타고 남은 재가 다음 농사에 거름이 되어 곡식의 새싹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한 소망이 담겨 있다. 또 민간신앙으로 보면, 이날 불을 놓으면 모든 잡귀를 쫓고 액을 달아나게 하여 1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잘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조선시대 양반집 자녀들의 놀이 중 하나인 종정도(從政圖)는 일명 '승경도'(陞卿圖)라고 하는데, 어느 것이나 '벼슬살이를 하는 도표'라는 뜻이다. 성현의 『용재총화』에는 조선 초기 하륜(河崙)이 만들었다고 전하며, 놀이를 통해 조선시대의 벼슬 직제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었다. 즉, 관직명이 쓰인 종정도 판과 말을 놓고, 숫자 방망이를 굴려 말을 이동하는 놀이다. 남승도(覽勝圖)는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숫자대로 도표 위에 그려진 명승지를 유람하는 아동용 놀이다. 서울을 떠나 팔도강산을 돌아본 다음 다시 서울로 되돌아오는 놀이로 여정을 빨리 마치는 쪽이 이기게 된다. 놀이를 통해 전국의 명승(名勝)을 익히고 풍토·산물·인물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놀이다.

부녀자들과 아이들이 즐기던 투호(投壺)는 병을 놓고 일정한 거리에서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다. 『예기(禮記)』에 투호법이 등장할 정도로 오래된 놀이로, 화살은 던져 병 속이나 귀구멍에 들어가게 하였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