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16세기 후반부터 세워지기 시작한 서원은 고려말 조선초에 존재하던 서재의 전통을 잇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재의 성격이 단순히 유자의 안거강학(安居講學)의 장소였던 데 반해 나아가 서원은 선현을 봉사하는 사묘(祀廟)를 가지고 있었으며, 엄격한 학규에 의해 운영되는 특징을 가졌다. 서원은 지방사림세력의 구심점이 되었으며, 나아가 중앙 정치세력의 제지 기반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었다.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은 1543년(중종 38)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세운 것으로 안향을 봉사 대상으로 하고 학규는 주희가 세운 백록동서원의 것을 본받았다. 그후 1550년(명종 5) 이황이 풍기군수로 재직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사액(賜額)을 요청하여 이를 실현시킴으로써 초기의 서원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사액은 편액 뿐만 아니라 서원의 유지 관리를 위한 토지와 노비, 다량의 서적이 부수되는 것이었다. 이는 서원이 단순한 사설 교육기구에 머무르지 않고 국가 공인하에서 발전하고 보급되는 계기가 되었다. 서원은 선조 때에 들어와 사림파가 정치의 주도권을 잡으면서 본격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이미 명종 때까지 거의 20개에 가까운 서원이 세워졌으나 선조 때에는 50여 개의 서원이 세워지고 그 가운데 21개의 서원이 당대에 사액을 받았다.
서원의 경제기반은 토지와 노비를 바탕으로 했는데, 본래 각지의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학이었으므로 원칙적으로 국가로부터의 경제적 보장책은 없었다. 단지 국가가 승인하는 형식인 사액의 경우 면세전 3결(結)과 노비 1구(口)의 사여가 따랐다. 그러나 서원은 설립 당초부터 그 지방의 사림으로부터 토지나 노비가 기증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시대가 내려오면서 서원이 사회적 위세를 지니게 되자 면세를 목적으로 납입되는 토지, 면역을 목적으로 투탁하는 양인이 많아져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