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기록관>목판인쇄 소개>목활자 종류>동국정운자(東國正韻字)
URL

목판인쇄 소개

목활자 종류 - 동국정운자(東國正韻字)
<동국정운>

<동국정운>

<동국정운(東國正韻)>은 세종이 우리 나라의 한자음을 바르게 잡기 위해 편찬한 책으로, 신숙주 등 집현전의 여러 학자들이 왕명을 받들어 완성하자 세종 29년(1447) 목활자를 만들어 찍어 낸 다음 각 도와 성균관 등에 배포하였다. 이 책을 찍은 목활자 중 한자 큰 자를 '동국정운자', 한글 큰 자를 '동국정운 한글자'로 부르고 있다.



한편, 세종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후 우리 나라의 한자음을 바로 잡고자 동왕 29년(1447)에 <동국정운>을 완성하고 또 다시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 당시 명나라에서 새로 엮은<홍무정운>의 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작업을 착수하였다. 이 작업은 사람을 요동에 보내 정확한 음운을 결정하게 하는 등 오랜 시일이 걸린 탓에 세종 때 작업이 완성되지 못하고 문종 때의 교열을 거쳐 단종 3년(1455)에야 비로소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이 인출되었다. 이 책을 인출하기 위해 쓰인 목활자 중 한자의 큰 자를 '홍무정운자'라 하고, 한글의 큰 자와 작은 자를 '홍무정운 한글자'라고 부른다.

이전 페이지로 이동 | 다음 페이지로 이동